심리학이란?
심리학(心理學)은 인간의 심리과정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경험과목으로서, 자연과학에서부터 공학, 예술, 인문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공헌을 하고 있다.
인간이 관계된 모든 분야에는 직/간접적으로 사고와 행동에 관한 연구인 심리학의 학문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특히 사회가 점차 정보화 사회가 되어가면서 인간의 삶의 질과 관계된 문제들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에는 사고, 지능, 감각, 적성, 지각, 성격 등의 인간 고유의 특징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인간의 행동과 기저 원리를 연구하는 심리학은 앞으로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은 보통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 영혼에 대한 학문'이라고 정의한다. 연구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조금씩 그 정의의 폭이 달라질 수 있으나, 과학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기 시작한 근현대의 심리학에서는 기본적으로 '행동에 대한 과학'이라는 내용이 그 핵심이라 할 수 있겠다.
심리학의 역사
심리학은 오랜 역사를 가진 학문으로, 예전부터 인간의 마음과 행동에 대한 고찰과 논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전의 심리학은 현대적인 과학적 방법과는 거리가 멀었고, 종종 철학적인 영역으로 취급되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과 같은 고대 철학자들은 이미 인식론에 관한 문제를 다루며, 이러한 논의는 르네상스 시대 이후 스피노자와 데카르트와 같은 철학자들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데카르트는 심-신 문제에서 두뇌와 마음의 이원론을 주장하면서, 몸과 마음이 별개의 개체로 간주되는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현대 심리학의 과학적 탐구와는 매우 다른 입장이었습니다.
한편, 1010년에 출간된 이븐 알하이탐의 "광학"은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여 시각에 대한 심리학적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선구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책은 시각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실험적인 접근을 채택한 점에서 중요합니다.
1590년에 출간된 루돌프 괴케의 책에서는 조건을 사용한 심리 실험에 대해 처음으로 다루었습니다. 이는 심리 실험의 일반적인 방법론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디드로와 비랑과 같은 다른 학자들도 이에 관한 연구를 했습니다.
17세기에 활동한 영국의 의사 윌리스는 정신적 치료의 목적으로 뇌의 기능을 연구하면서 "정신의 법칙"이라는 용어로 심리학을 처음 소개했습니다. 이로써 19세기에 들어와서 심리학은 철학에서 과학적 학문으로 분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인 흐름은 심리학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됩니다.
심리학의 성립
1879년,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윌헬름 분트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첫 번째 심리학 연구소인 정신물리실험실을 개설했습니다. 이는 심리학이 학문적인 연구 대상으로 취급되기 시작한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분트는 이 연구소에서 심리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방법론으로 '내성법'을 주장했습니다. 이는 개인의 내면적 경험과 생각을 연구하는 방법론으로, 외부로부터 관측 가능한 현상뿐만 아니라 내면적인 과정과 주관적인 경험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미국의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1890년에 "심리학의 원리" (The Principles of Psychology)라는 책을 출간했습니다. 이 책은 당시의 심리학에서 다루는 주요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작성되었으며, 심리학의 성장과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제임스는 인간의 의지와 의식, 감각과 지각, 감정, 기억, 학습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고, 이를 통해 심리학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역사적 순간은 헤르만 에빙하우스가 베를린 대학에서 기억에 대한 선구적인 실험을 수행한 것입니다. 그의 연구는 기억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과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이반 파블로프는 유명한 고전적 조건형성 실험을 통해 학습 과정을 연구했습니다. 이 실험은 조건부 자극과 반응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하며, 학습 및 조건부 반응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연구와 업적들이 현대 심리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하였고, 심리학은 과학적인 학문으로 성장하고 발전해 왔습니다.
형태주의 심리학
심리학의 발전 과정과 함께 형태주의 심리학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그리고 이론과 주요 인물들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형태주의 심리학 또는 게슈탈트 심리학은 20세기 초기에 독일 심리학자 베르트하이머(M. Wertheimer)를 중심으로 발전한 학문으로, 심리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학문의 핵심 아이디어는 '게슈탈트(Gestalt)'라고 불리는 형태나 패턴의 개념입니다. 게슈탈트란 여러 가지 개별적인 성분이 하나로 묶여서 전체적인 의미나 구조를 형성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형태주의 심리학의 창립자인 베르트하이머는 1910년에서 1912년 사이에 "운동지각에 관한 실험연구"라는 논문을 통해 게슈탈트 심리학의 중요한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지각 현상을 연구하면서, 간단한 움직임을 연결하여 움직임의 지각을 설명했습니다. 이는 파이(phi) 운동이라고 불리며, 게슈탈트 심리학의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창립에는 베르트하이머 외에도 물리학자 마흐, 철학자 에렌펠스, 칼 슈툼프(Carl Stumpf) 등의 인물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마흐는 형태주의 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기초적인 형태"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특정한 공간-형태가 더 기본적인 형태로 환원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에렌펠스는 "형태질"이라는 개념을 소개하여, 경험의 질이 개별적인 감각 요소 이상임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아이디어들은 개별적인 경험과 지각 요소보다는 전체적인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이론은 근접성, 유사성, 좋은 연속성 등의 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론은 전체와 부분 간의 상호 작용과 각 요소의 연결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지각과 이해에 대한 흥미로운 관점을 제공합니다.
형태주의 심리학은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감각, 인지, 학습, 문제 해결 등의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론은 또한 디자인, 미술, 교육, 심리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인간의 지각과 인식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자 이야기 - 카를 구스타프 융 (0) | 2023.09.30 |
---|---|
심리학자 이야기 - 프랜시스 골턴과 제임스 카텔 (0) | 2023.09.29 |
심리학자 이야기 - 헤르만 에빙하우스 (0) | 2023.09.29 |
심리학자 이야기 - 빌헬름 분트 (0) | 2023.09.28 |
심리학의 종류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다양한 심리학 (0) | 2023.09.28 |